일부 무고한 영혼은 음식처럼 묻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오늘 점심으로 4000원 상당의 추어탕을 먹고 1000원을 받고 돌아왔습니다.
횡단보도 앞에서 주무시던 남루할머니에게 도시락 사오라고 억지로 횡단보도를 건넜는데 “죄송합니다.
횡단보도까지 오느라 못 가져가네요. 이게 랩입니다.
” 나에게 돌려 주었다.
아, 저녁 대접으로 드리니 부끄러웠지만 할머니는 슬퍼보이지도, 속상해하지도 않으셨다.
어릴 때 먹물 가지고 놀다 보니 손이 많이 더러워보였어요.
– 이성복 시인(1952~) 시 “아, 점심값이네” 전문
돌아오는 길에 추어탕을 배속으로 먹고 돌아오는 길에 한 노파가 끼니를 거르고 길가에서 꾸벅꾸벅 졸고 있는 것이 보인다.
배고플 때는 다른 사람의 배고픔을 눈치채지 못하지만 배가 부르면 다른 사람의 배고픔을 볼 수 없다.
이윽고 그는 주머니에 있는 1,000원짜리 거스름돈을 할머니의 손에 넣습니다.
추어탕 한 그릇으로 배를 채운 이성복 시인의 배는 배고픈 할머니에게 기꺼이 도시락 값을 치르고자 했기에 더 따뜻했을 것이다.
하지만 할머니가 묵직한 몸으로 시인을 쫓아 천원권을 돌려주자 시인은 비로소 그의 손을 부끄럽게 여긴다.
남의 허기를 채우기 위해 쓴 돈은 기껏해야 천 원밖에 안 되었고, 그 초라한 지폐도 공짜로 받기에는 거액이었다.
내 손을 봐라 시인의 손이 더러워 보이듯 내 손도 더러웠다.
손 씻기에 신경을 많이 썼는데도 너무 지저분했어요.
시인은 긴 이야기나 많이 뜨겁고 안타까운 사랑을 노래할 수 있지만, 이성복 시인은 죄 많은 부끄럽고 부끄럽고 비참한 일상을 주로 노래한다.
어쨌든 역사, 사랑, 그리움은 소소한 일상의 중첩으로 이루어진다.
시인이 포착한 조금 초라한 일상은 오늘처럼 바쁜 오후에 특히 힘듭니다.
잠에서 깨어 연구실 창밖을 내다보면 세상이 아찔할 정도로 불합리하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이유가 무엇이든 어떤 사람은 배고프고 어떤 사람은 배부르다.
그리고 이 세상에서 나는 배고픈 편이 아니라 배부른 편이다.
거대한 종합병원에서 일하고 일주일에 며칠씩 야근을 한다는 사실이 내 포만감을 정당화할 수는 없다.
생각해보면 참 부끄러운 일들이 많은데 사람들은 그런 마음가짐으로 하루하루 살 수 없기에 세상의 불공평함을 외면할 핑계를 찾는다.
암튼 오늘밤 호텔레스토랑에서 수만원짜리 스테이크를 썰려고 합니다.
먹지 않는 것에 대해 이야기합시다.
오늘날에는 필요한 문서를 일괄적으로 인쇄할 수 있어 종이를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아날로그 시대의 사무실에서는 종이가 필수품이었습니다.
젊었을 때에도 먹는 것은 꽤 유용한 것이었습니다.
초등학교 1학년 때 국어 교과서에서 10번을 베끼는 숙제가 있었는데, 철수와 영이가 바둑을 어떻게 했는지 10번씩 적어야 하는 일이 어려워 종이를 이용해서 숙제를. 이때 메모지에 음식물이 묻지 않도록 주의하여 필기 손이 메모에서 살짝 떠서 필기를 누르게 한다.
서너 장의 종이를 겹겹이 쌓으며 여러 노트를 동시에 작업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선생님이 결국 저를 붙잡고 때렸습니다.
분주한 오후 어린 시절 잉크 묻은 손을 기억하는 것은 시인이 만난 할머니 때문만이 아니라 수줍은 시인의 영혼이 내 손에 잉크처럼 각인되기 때문이다.
부끄러움을 느끼기 위해 시인처럼 예민할 필요는 없지만, 부끄러워할 필요가 없다, 그냥 뻔뻔할 수 있다는 말을 시대는 반복한다.
맹자의 가르침에 “네가 부끄러운 마음을 부끄러워하면 결국 부끄러움이 없다”는 말에 “죄송합니다.
받아들이지 않겠습니다.
” 귀.